본문 바로가기
Food/와인 이야기

프랑스와인의 등급!!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11. 3.

안녕하세요?^^

 

오늘은 와인이야기~~ 프랑스와인의 등급에 대해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등급이야~~ 가격이 알아서 나눠준다는 ㅎㅎ  보편진리는 놔 두고^^  고고싱~~

 

 

'신의 국물'을 통해서 일반적인 프랑스 와인 등급은 많이 알려졌지만...
산지별 등급과 AOC라는 문구가 중복되면서 낮은 등급이 최고등급인양 알려지는 오류도 있네요~
보르도와 브르고뉴 등의 와인 등급은 또 다르네요~

 



< 프랑스의 와인 등급 > 



프랑스는 몇 가지 관련 법을 통해 포도 재배 및 와인 제조를 강력히 통제하고 있다. 와인 의 등급은 라벨에 표시된다. 

  ① 아펠라시옹 도리진 콩트롤레 (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 : AOC, 최상급, 35%) 

    - '원산지 통제 호칭법'에 의해 생산된 최상급 와인을 AOC 와인이라고 한다. 

    -  라벨에는 'APPELLATiON 지역명 CONTROLEE' 의 형태로 표시돼 있다. 


  ② 뱅 델리미테 드 칼리테 쉬페리에 (Vin Delimite de Qualite Superieur:VDQS,상급,  2%) 

    - '우수한 품질의 와인' 이라는 뜻, AOC 와인만은 못하지만 비교적 훌릉한 수준이다.      


  ③ 뱅 드 페이 (Vin de Pays, 지방명 와인, 15%, 중급) 

    - 프랑스 컨트리 와인이라고도 부른다. 

      좀 덜 유명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지방 와인, 

      싼 값에 AOC처럼 개성있는 맛을 즐길 수 있다. 


  ④ 뱅 드 타블 (Vin de Table, 테이블 와인, 38%, 하급) 

    - 비싸지도 않고 오래 저장하지도 않은 일상주 스타일의 와인 

      원산지가 다른 몇 가지 와인을 섞어 만든다. 

      개성은 덜하지만 다양한 사람의 입맛에 두루 잘 맞는다.




★ 보르도지방 와인등급 

  ① 최고등급인 1등급 : 프리미에 그랑크뤼크라세 

    - Grand Cru Classé (최상급 품계) 


    - 2~5등급 : 그랑크뤼 크라세 (두번째 품계) 


    - 그 다음으로 Cru Bourgeois급이 있다 


    - Cru Bourgeois 3개 클라스 (2003년 기준) 


       Cru Bourgeois Exceptionnels (9) 


       Cru Bourgeois Suprieurs(87) 


       Cru Bourgeois (150여개) 


       → 오메독 유명 부르조아 급 


           (샤토 타가삭, -샤르마이유, -시삭, -라네상, -보몽, -마래스카드, -시트랑...) 


       → 바메독 유명 부르조아 급 


           (샤토 그래이삭, -보탄삭) 


  ② 다음으로 마을명 AOC와인 : 뽀이약, 생줄리앙, 마고 등 


  ③ 지역명 AOC와인 : 메독, 오메독, 그라브 등 


  ④ 가장 낮은 등급의 AOC와인 : 보르도 지방명 와인 


    샤토는 3,000개정도 


    AOC중 특급와인 61개중 5등급 와인 (1855년 나플레옹 3세에 의해 지정) 


    1 -> 2- > 3 -> 4 -> 5 -> 부르조아급 


   Cru : 특정한 포도밭을 의미 


  ⑥ 뽀므롤 지역은 등급없음


     르팽, 쀄트리스(100% 메를로 품종)도 메겨진 등급은 없슴 



★ 부르고뉴 와인등급 

  ① 최고급 특급와인 Grand Cru

     : 꼬뜨도르지역의 32와 샤블리 1개지역이 있으며,대표적으로 로마네꽁티와 화이트와인으로는 몽라세가 있다 


  ② 두번째로는 1급와인 Premiere Cru AOC와인 


  ③ 마을명칭 AOC와인(AOC Village) : 샤블리, 본로마네 등 


  ④ 가장 낮은 등급의 AOC와인 : 부르고뉴명 와인 


    부르고뉴 루쥬 (부르고뉴전역에서 급이 낮은 포도만을 모아 섞어 만든 와인) 

   부르고뉴 루류는 생산자()의 개성은 있을지언정 생산지()의 개성은 없다. 



★ 프랑스 와인등급 참고 

   VDQS : AOC로 올라가기 전의 단계로 프랑스와인의 약 2%정도 


  ② 프랑스에서 한가지 포도품종으로 생산하여 라벨에 포도품종이 기재된경우, 이와인은 뱅드뻬이등급(Vin de Pay)에 해당 


  ③ 뱅드따블(Vin de Table) : 원산지명과 빈티지를 갖지 않는 와인 


  ④ 보르도 그랑끄뤼(Grand Cru) 특등급와인 

    - 1855년 파라박람회때 나플레옹3세가 맛좋다고 평가되던 와인들을 심사해서 특별히 분류해놓았는데, 

      그 때 선정되었던 와인들로 61개 그랑끄뤼와인이 5등급으로 나누어졌다. 

      1855 418일에 처음으로 샤토 등급 리스트를 발표한 이래로 지금까지 등급 변화는 단 두 번뿐이었다. 


       지난 150년 동안 1855 916일 샤토 캉트메르가 5등급에 추가됐고,

      1973년 샤토 무통 로칠드 와인이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승격된 것이 전부다. 


       보르도 등급제도의 또 다른 특징은 등급이 샤토에 수여됐다는 점이다. 

      질 좋은 포도밭을 가진 메독 마을들을 기준으로 등급이 매겨지지 않고 생산자인 샤토들에 등급을 줬다. 


       높은 등급의 샤토들이 메독 마을의 다른 포도밭을 사서 확장해도 자신들의 등급을 적용할 수 있다. 

      품질 좋은 와인을 생산하려는 샤토의 노력이 대단한 데다 자연의 가장 큰 선물인 베스트테루아가 있기 때문이다. 


  ⑤ 부르고뉴 


    - 옛날에는 개인이나 수도원소유의 대형포도원이 많았으나 프랑스혁명이후 작은 포도원으로 잘개 분할, 매각되었다. 

      보르도와 달리 대단위 포도원은 많지 않고 1인당 평균 4ha정도의 포도원 소유 부르고뉴 지방은 대륙성기후로서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덮다 

    - 재배면적은 약 25ha로서 보르도의 1/4정도. 

      (보르도 재배면적은 110ha, 켈리포니아 재배면적 30ha) 

      화이트와 레드의 비율은 58%:42% 


    - 부르고뉴 와인 : 보르도와 비교할 때 색상이 좀더 투명하고 맛과 향기가 복잡하다

 

 

 

뭐가 이렇게 복잡해?

 

하실수도 있지만~~ 와인의 늪에 빠지는 그날부터 등급을 분류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실거라 생각됩니다.

 

적절한 음주로~~ 건강지키시길 바랍니다. ^^

 

 

 

  

 

 

 

 

'Food > 와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 와인등급  (0) 2014.11.04
[와인행사정보]신세계 센텀시티 씨네드쉐프!  (0) 2014.11.03
초보자를 위한 와인 즐기는 방법  (0) 2014.11.01
와인 음미하는 방법 !!  (0) 2014.10.31
와인의 색깔!  (0) 2014.10.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