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공을 막아 여드름으로 이어지는 4가지 요인
-안드로겐의 활약으로 모공이 막힌다.
사춘기 이후 분비되기 시작하는 안드로겐에 의해 피지가 만들어지고, 피지는 모공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안드로겐이 표피에 작용하면 표피의 각질화가 촉진되어 각질층이 두터워진다.
모공을 만들고 있는 것은 표피 세포이고, 모공의 가장 안쪽을 둘러 싸고 있는 것은 각질층이다.
따라서 각질층이 두터워지면 모공이 막힐 수 밖에 없다.
- 여드름균이 많아도 모공이 막힌다.
모공을 막는 두번째 요인은 여드름균으로, 이 세균이 정식 명칭은 'Propionibacterium acne'이다.
여드름균은 피지를 먹고 살며 공기중의 산소는 싫어한다.
즉, 여드름균은 혐기성 균으로, 모공 둘레 모낭의 누두부에 주로 산다.
피지를 먹고 사는 이 균은 피지의 주성분인 트리클리세라이드를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으로 변하게 한다.
그런데 유리 지방산은 피부에 심한 자극을 주는 물질이어서 모낭벽이나 모공 주위의 세포에 염증을 일으킨다.
그 결과 각질이 두터워지고 모공 둘레가 부어서 모공이 막히면 피지가 원활하게 빠져나가기 못해 여드름이 생긴다.
또한 모낭전체로 염증이 번지면 흰색 면포나 검은색 면포가 화농성 여드름으로 악화될 수 있다.
-모낭충에 감염되면 모공이 막힌다.
모공을 막는 세번째 요인은 모낭충에 의한 감염이다.
모낭충도 여드름균과 마찬가지로 피지를 먹고 살며, 주로 코 주위나 T존 부위의 모공 둘레에 기생한다.
모낭충이 많지 않을 때는 별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수가 많아지면 모난 둘레에 염증을 일으켜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
모낭충 때문에 생기는 여드름은 여드름 뿐만 아니라 주위 피부에 까지 염증이 퍼져 피부가 붉게 변하면서 보기에도 아주 흉하다.
코 부위에서 이런 증세가 생기면 딸기코(주사)처럼 보일 수 있다.
- 잘못된 화장은 모공을 막는다.
모공을 막는 요인 가운데 사춘기 이후의 여성들에게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화장품이다.
여성들은 대개 사춘기가 끝날 때쯤부터 화장을 시작한다.'
이때 적절하지 못한 화장에 의해 모공이 막혀 새로 여들므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이 화장품에 의한 여드름이다.
이런 화장품이든 모공을 막으면 피지가 잘 빠져나가지 못해 모낭 안에 피지가 뭉쳐져서 여드름이 생긴다.
특히 기름기가 많은 화장품은 기름과 잘 결합하는 성질을 지녔기 때문에 모공 둘레의 피지와 잘 결합하여 모공을 막아버린다.
'Skin > 트러블 & 모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농성여드름, 곪은 여드름 치료방법 (0) | 2015.07.25 |
---|---|
초기여드름, 면포성여드름 화이트헤드/ 블랙헤드 관리법 (0) | 2015.07.24 |
피지선에서 피지가 많이 분비되는 요인 4가지 (0) | 2015.07.21 |
넓어진 모공을 치료하는 방법들 (0) | 2015.07.06 |
여드름자국, 여드름흉터 차이점과 치료법 (0) | 2015.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