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kin/뷰티 일반

모세혈관 확장증에 대한 치료법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6. 6.

 

 

모세혈관 확장증, 안면홍조에 대한 치료법

 

실핏줄은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는데 어떤 이유로든지 표피가 얇아지거나 혈관이 두꺼워지면

피부가 붉어지거나 실핏줄이 보이게 됩니다.

이렇게 실핏줄이 보이는 경우를 모세혈관 확장증이라고 합니다.

모세혈관 확장증의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표피가 얇아져서 피부속의 실핏줄이 보이는 경우와 가느다란 혈관이 늘어나면서 붉은 핏줄이 보이는 경우입니다.

 

 

얼굴, 귀, 목 주위가 온도의 변화나 감정의 변화, 음식물 등에 의해 피부속의 혈관이 확장되어 붉게 보이는 것을 안면홍조라고 합니다.

주로 겨울이 되면 얼굴의 볼이 유난히 빨갛게 되는 사람이나 폐경 후에 갑자기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대부분은 얼굴의 모세혈관을 지배하는 신경의 이상이나 혈관의 수축이완작용의 이상으로

모세혈관이 늘어나 있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주사와 같은 피부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안면홍조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으로는 외부의 온도 변화, 폐경, 감정의 변화, 술이나 약물,

또한 이외에도 칼시노이드 증후군과 같은 내과적 질환이 안면홍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표피가 얇아지는 대표적인 원인은 스테로이드 연고의 남용과 노화입니다.

그 외에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 아토피 체질 증으로 인하여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피부의 염증이

표피를 얇게 만들면 실핏줄이 보이게 됩니다.

 또 스테로이드 연고를 계속 바르면 피부가 얇아질 뿐만 아니라 혈관도 늘어나서 실핏줄이 보이게 됩니다.

그 외에도 햇빛에 오래 노출되거나 유전적으로 모세혈관 확장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모세혈관 확장증에 대한 치료법

IPL, 혈관레이저 :  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실핏줄에만 작용하는 혈관레이저가 개발되어 모세혈관 확장증에 많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치료간격은 1~2개월에 한번 씩 3~5번 가량 치료하며 모세혈관 확장증의 심한 정도, 부위, 개인차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기소작술 / 혈관 경화술 : 혈관 경화술이란 고농도의 식염수나 알코올 또는 특수한 물질을 혈관에 주입하여 혈관을 좁히거나

막는 방법입니다. 주로 가는 혈관보다는 굵은 혈관의 치료에 사용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