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ziyega/성사모(성장인자)38

인간 상피 세포 재생 인자 (h-EGF) 피부 미용 효과 인간 상피 세포 재생 인자 (h-EGF) 피부 미용 효과 h-EGF 화장품 화장품이란 직접 인체의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 외모를 아름답게하고 청결을 유지하고 영양 공급을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미용제품의 효과이다. 그 중에서도 일상적으로 필요한 기초 화장품과 아름다움을 유지 및 배가시키기 위해 화장품과 특수 용도 화장품의 각각으로 나뉜다. 최근 중국의 외국계 화장품 업체는 안티 에이징제와 천연 재료를 배합 한 화장품의 연구 개발에 힘을 쏟고있다. 특히 생물 활성을 갖는 세포 인자가 함유 된 화장품이 주목 받고있다. 피부를 아름답게하는 것은, 실은 피부 조직 세포의 생명력, 영양, 대사 등의 종합 균형이 발휘되어 피부의 바탕이 아름다워지는 것을 말한다. h-EGF는 인체 세포 인자의 하나로, 인간의 피부와 .. 2017. 7. 6.
KGF란? KGF란? Keratinocyte Growth Factor (케라티노사이트/ 각질세포 증식인자)라고하는 상피와 표피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증식인자. 194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는 분자량이 약 27,000인 당단백질이며 FGF(섬유아세포증식인자)족의 일원이다. 이름 귿3ㅐ로 피부 각질세포(케라티노사이트)등의 상피계의 세포의 성장인자이다. 사람 피부를 이용하여 행해진 실험에서 EGF와 같은 표피세포의 증식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KGF를 다른이름으로 FGF-7이라고도 한다. 모모세포(geminalmatrix)의 증식분열을 재촉하여 모발성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다. KGF는 매우 고가의 원료이며 바이오링크사의 원료는 국제표준품으로 규정된 원료와 동등한 생물활성이 증명된 원료이다. 그 활성은 5년이 .. 2017. 6. 26.
[펌]국내 EGF화장품의 함유량 현황 [출처] http://www.theb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8734 EGF 화장품을 구매시 성분 함유량과 원료 출처를 확인하고 구매하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화장품 브랜드들이 성분 함유량을 허위로 또는 아에 표시하지 않거나, 저가 원료를 사용해 무늬만 EGF 화장품들을 유통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일명 꿈의 화장품이라고 불리는 EGF(Epidermal Growth Factor/ 세포증식인자) 화장품이 안티에이징 시장에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소비자들은 피부 재생은 물론이고 피부보습이나 기미 검버섯제거, 피부 미백, 피부 탄력강화, 주름제거 효과가 탁월하다는 평가와 함께 피부 트러블 치료까지 가능해 모든 피부타입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 2017. 6. 26.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의 특성과 구조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s, FGF)는 조직재생 및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요소 입니다. 1973년 뇌하수체 추출물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뇌와 뇌하수체에서 분리되었습니다. 고립된 요인의 섬유아세포 자극 활성으로 인해, 과학자들은 그들을 'FGF'라고 묘사했으며. FGF-1은 산성pH에서 분리된 이후 처음으로 '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로 명명되었습니다. 하지만 FGF-2는 원래 기본 pH에서 분리하고 "기본 섬유아세포성장인자"라 불리었습니다. 현재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는 선충류에서 인간까지 존재하는 많은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섬유아세포를 모방할 수 없는 요소도 있습니다. FGF 특성 척추동물에서 FGF계통의 22개의 구성원이 확인되며, 그 중 분자량은 17~.. 2017. 6. 20.
화장품 펩타이드의 종류! 펩타이드의 종류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의 중합체이므로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주름개선 효능을 발휘하는 펩타이드가 효과적이며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디펩타이드(Dipeptide) : 세포활성화, 활성산소 억제작용코퍼펩타이드(Copper Tripeptide): 염증방지, 조직보호 및 치유, 노화방지 테트라펩타이드(Tetrapeptide) : 세포분열 촉진, 재건, 세포벽 강화 펜타펩타이드(Pentapeptide) : 주름개선, 엘라스틴, 콜라겐의 성장촉진, 구조개선 헥사펩타이드(Hexapeptide) : 안면근육이완, 주름, 탄력, 재생, 신경전달물질 차단, 상처치유 옥타펩타이드(Octapeptides) : 반복적이고 빠른 엘라스틴, 콜라겐 증진, 진피보호역할 올리고펩타이드(Oligopeptides) : 세포.. 2017. 6. 15.
펩타이드의 역할! 펩타이드(Peptide)란 단어는 그리스어로 '소화를 시키는'이란 어원을 갖고 있으며 우리 몸에서 반드시 필요한 '작은 단백질(protein)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펩타이드는 인체에 존재하는 종의 아미노산(amino acid)들이 결합된 '아미노산의 중합체(polvmer)'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몸에 존재하는 단백질 또한 아미노산들의 중합체입니다. 단백질과 펩타이드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은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의 결합 개수입니다. 아미노산이 2~50개가 결합된 것을 '펩타이드'라고 하며 51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것을 '단백질'이라 통상적으로 구분합니다. 펩타이드는 우리 몸에서 호르몬 역할을 수행합니다. 세포가 모든 생명을 구동하는 엔진이라면 '수용체(receptor)는 엔진 조작판의.. 2017. 6. 15.
펩타이드(Peptide)란? 펩타이드! 펩타이드란 알파 아미노산이라는 물질로 이루어진 일종의 작은 단백질을 말합니다.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인체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임과 동시에 효소, 호르몬, 항체 등 다양한 기능과 구조를 가집니다. 차세대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펩타이드! 보다 좋은 원료와 소재를 화장품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으나 기능성, 안정성, 피부 투과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원료를 찾기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펩타이드는 체내에서 생성되는 단백질과 매우 유사한 기능과 구조를 가지는 안전한 물질이라는 점과 그 크기가 단백질에 비해 월등하게 작아 피부를 통과하기 쉬운 점등으로 인해 차세대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각광받는 이유가 됩니다. 펩타이드 화장품, 고르는 방법? 펩타이드 원료는 의약품 원료로 활발하게 연.. 2017. 6. 15.
EGF의 놀랄 만한 임상실험결과 미국의 브라운 박사가 실시한 60일간의 EGF(세포재생인자/EPIDERMAL GROWTH FACTOR)의 임상실험 결과 5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도 60일간 연속하여 EGF(세포재생인자/EPIDERMAL GROWTH FACTOR)를 투여한 결과 신생 세포의 성장이 큰폭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습니다. EGF(세포재생인자/EPIDERMAL GROWTH FACTOR)를 배합한 로션(EGF 첨가량은 0.1㎍/ml=0.00001%)은 EGF(세포재생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를 무 첨가 로션보다 최고 872% 평균 284%의 놀랄 만한 높은 세포 성장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인용 자료:미국 특허#5,618,544) [미국특허청 자료 ] http://patft.uspto.gov/.. 2017. 5. 30.
성장인자(Growth Factor)란? 피부관리와 미용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성장인자'라는 용어가 생소하지 만은 않을것이라 생각됩니다. 피부로만 봤을때 피부세포의 생장과 분화를 가져와 지속적으로 새살을 돋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인자는 피부외에도 다양한 종류들이 있는데, 생식기관에서부터 뇌의 아주 작은 신경세포에까지 존재하는 것이 성장인자입니다. 즉, 우리 몸에 성장인자들이 관여하지 않은 기관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인자들은 각 세포들이 가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노화가 되면 또 다른 세포가 계속 그 일을 이어받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성장인자의 발견 약60여년전 당시 미국의 생화학자였던 스탠리 코헨(Stanley Cohen)박사와 신경학자 리타레비 몬탈치니 박사는 1952년부터 미국 워싱턴 대.. 2017. 5. 24.
FGF(Fibroblast Growth Factor)란? FGF(섬유아세포성장인자)란? 상피세포성장인자인 EGF와 마찬가지로 FGF도 인체에 있는 성장인자입니다. INCI 이름은 2011/1/14에 Human Oilgopeptide-13 --> 'rh-Polypeptide-11'로 변경되어 있습니다. FGF에는 아래의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FGF-1(aFGF) - 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 FGF-2(bFGF)- 염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 FGF-7(KGF) - 각질세포성장인자 브라운 박사의 실험에서 사용된 FGF는 bFGF이었지만, 후속 실험에서 외상이 없는 피부에는 aFGF쪽이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많은 화장품에 'aFGF"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피세포성장인자인 EGF는 그 이름과 같이 표피에서 그 기능을 하지만, FGF는 표피 아래에 .. 2017.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