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토랑에서 웨이터나 소믈리에가 주문한 와인 병을 갖고와 병을 오픈한뒤
코르크 마개를 확인시켜주고 소량의 와인을 잔에 따라 시음을 권합니다.
아마도 습관적으로 코르크 마개를 받아 냄새를 먼저 맡아보진 않으셨어요?
코르크마개와 와인과의 상관관계는 정확하게 알고 있지는 못한
무의식적인 행동이라고 보여집니다.
사실, 소믈리에가 코르크 마개를 보여주는 것은 코르크의 향을 맡으라는 것이 아니라
코르크 마개의 상태를 확인하라는 의미입니다.
코르크 마개가 너무 말라 부스러지지는 않았는지
너무 물러져 있거나 코르크 마개의 3분의 2이상이 젖어 있다면
일단은 그 와인의 상태를 의심 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와인은 생산과정에서 혹은 유통과정에서 보관이 잘못되는 등과
같은 이유로 가끔씩 변질된 와인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런다음 소믈리에가 약간 따라준 와인의 향기를 맡아보고 맛을보면
더욱 정확하게 와인의 상태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상한와인에서 쉽게 발견되는 대표적인 냄새들로는
시큼한 식초, 흙, 고무, 석유, 양배추, 황, 생선, 젖은 모, 메니큐어 에나멜,
젖은 마분지나 카드보드, 강한 코르크 향, 곰팡이 냄새등과 같은
역한 냄새가 느껴진다면 이 와인들은
마시지 않아야 합니다.
이럴때에는 소믈리에에게 와인의 향기와 맛을 감정해 달라고 요청하세요~
이에 소믈리에는 그 와인을 확인한 후 변질된 것으로 판단시
다른와인으로 교환해 줄 것입니다.
단, 시음 후 단순히 와인의 맛이 좋지 않아서 혹은 내 취향이 아니라는 이유로
와인을 바꿔달라고 한다면 곤란합니다.
'Food > 와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드 와인을 만드는 대표 포도 품종 (0) | 2014.11.24 |
---|---|
레드와인의 특징 (0) | 2014.11.24 |
와인의 역사! (0) | 2014.11.18 |
마트에서 잘 팔리는 와인 (0) | 2014.11.18 |
와인상식 10계명!! (0) | 2014.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