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GF50

FGF와 EGF를 같이 써야 하는 이유! EGF와 FGF를 같이 쓰면 더 좋다! 라는 얘기는 들어보셨을 텐데요 뭔가 이렇게 쓰는게 좋다고 끼워넣으면 저것도 상술 아냐? 싶기도 하죠 :) 하지만 실제로 EGF와 FGF는 함께 사용했을때 시너지 효과가 뛰어납니다. 왜 같이 써야하는지 EGF와 FGF의 역할이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 끗 차이가 결정짓는 아름다움 FGF 20-30대에는 겉으로 드러나는 피부를 관리했다면, 40대 부터는 보이지 않는 속을 관리해야 합니다. 동안 피부와 노안 피부를 결정짓는 것이 바로 피부 속에 있기 때문이죠. 바로 나이가 들면서 꾸준히 줄어드는 콜라겐 입니다. 콜라겐(Collagen)은 얼굴 주름과 피부탄력을 결정짓는 단백질의 일종으로 피부조직 내에서 90%나 차지하고 있는 커다란 지지대 입니다. 그래서 피부 콜라겐이 .. 2022. 10. 17.
떨어지는 탄력! 피부 속 콜라겐을 채우는 FGF 콜라겐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피부, 뼈, 근육, 힘줄, 인대 등 체내의 전반적인 결합조직을 형성하는 일등공신이죠. 그리고 놀랍게도 피부의 80%를 구성하는게 바로 이 콜라겐 입니다. 콜라겐과 더불어 '엘라스틴' 이라는 단백질도 우리의 피부를 탄력있게 가꿔주죠 ^^ 하지만 야속하게도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 콜라겐의 양은 줄어즐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줄어들면 탄력과 볼륨이 점점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피부과 전문의들은 우리 몸속의 콜라겐을 빗대어 '단백질로 이뤄진 피부 속 밧줄' 이라고 말하는데. 딱 맞는 표현이지 않나 싶네요. 어릴 땐 피부가 짱짱하지만 나이를 먹으면 점점 느슨해 지니까요. / 20대 중반부터 점점 떨어지는 콜라겐과 느슨해지는 피부탄력을 위.. 2022. 7. 4.
FGF앰플 고르는방법! 상피세포성장인자인 EGF 성분은 많이 알려져 있지만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섬유아세포성장인자인 FGF !! FGF는 EGF성분에 비해 화이트닝, 주름, 흉터개선등의 효능이 탁월한 성분이지만 가격이 비싸고 화장품으로 만드는 제조기술 역시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생소하고 어려운 성분이지만, 안티에이징의 혁신이라 할 수 있는 FGF앰플 고르는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1. FGF란FGF (섬유아세포성장인자)는 조직 재생 및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인자로 세포증식인자를 의미하며, 피부의 세포를 증가시키는 줄기세포(BS세포)에 작용하는 성분입니다. 섬유아세포성장인자는 표피 아래의 '진피층'에서 모세혈관을 만들거나 콜라겐과 같은 탄력섬유를 만드는 기능을 하므로, 제대로 작용하는 FGF앰플을 사용한다면 .. 2018. 2. 21.
프락셀 부작용 예방을 위한 EGF성분은? 프락셀은 모공프락셀, 여드름흉터 프락셀, 프락셀제나, 프락셀듀얼 등 다양하지만 유사한 이름으로 불리어지며 각 이름별 효과도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기본적인 프락셀 레이저의 원리는 거의 유사하다. 피부에 인위적인 상처를 내어 피부 스스로의 재생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가 개선되는 원리이다. 하지만 피부가 충분히 재생 될 수 없는 조건에서는 부작용으로 인해 오히려 상처만 내고 색소침착이라는 부작용을 호소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프락셀 부작용 예방을 위해서는 피부재생을 촉진 및 도와주는 사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우리는 피부세포 재생성분인 EGF에 주목해야 한다. EGF란 상피세포성장인자의 약자로 세포의 성장을 촉진시켜 재생을 도와주며 피부의 장벽을 강화하여 보다 건강한 피부를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2018. 1. 4.
써마지 CPT 후 관리방법! 써마지 CPT써마지는 고주파 기술을 이용하여 피부속 깊은 곳에 열을 발생시켜 콜라겐을 수축시킴과 동시에 생성을 유도해 볼륨감 있는 피부를 만드는 시술입니다. 써마지 CPT는 기존의 써마지의 단점인 통증을 보완한 장비를 말합니다. 써마지는 노화로 인해 피부를 지탱하는 힘이 떨어져 발생하는 피부처짐이나 주름을 치효하고 보다 건강한 콜라겐의 합성을 유도합니다. 또 처진 피부로 인해 얼굴형이 변형된경우 얼굴라인을 타이트하게 잡아주어 시술 후 2~3개월 경과후부터 보다 또렷하고 라인이 살아있는 턱선의 라인을 잡아줍니다. 써마지 CPT는 피부를 절개하거나 보형물을 넣는 과정 없이 피부의 자연스러운 재생력을 이용한 시술이기때문에 시술 직후에는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지만, 피부가 재생되는 과정을 거쳐 시술 후 3개월이 .. 2017. 11. 17.
주름, 다양한 주름치료 방법!! 주름 Wrinkle 피부의 노화, 자외선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피부의 탄력을 지탱하는 히알루론산, 콜라겐, 엘라스틴 등이 감소하면서 탄력이 떨어지고 수분이 줄어들어 피부 표면에 굴곡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피하지방이 흡수되거나 반복적인 근육의 수축이 일어날 경우 주름은 더욱 깊어지고 심해집니다. 주름의 종류 표정주름 - 표정을 짓거나 말을 할때 근육이 수축되면서 생기는 주름입니다. 표정주름은 피부탄력이 잘 유지 될 때는 두드러지지 않지만, 피부노화와 함께 점점 짙어지게 됩니다. 사람마다 자주 짓는 특유의 표정이 있듯 표정주름도 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눈웃음을 잘 짓는 사람은 눈가 주름이 빨리 나타나고, 입을 크게 벌려 웃거나 큰 소리를 많이 내는 사람은 팔자주름이 생기기 쉽습니다. 눈에 힘을 주.. 2017. 11. 16.
무너진 턱선, 인트라셀이 강세! 30대를 지나면서 피부 탄력 저하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턱선이 처지지 않더라도 본인이 피부를 만지거나 느끼는 느낌이 대부분이고 50대가 지나면 중력의 영향에 의해 피부처짐이나 목주름도 급격하게 발생되는 것을 알게됩니다. 피부과 레이저와 고주파 기계들로 피부의 탄력을 되돌리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의 원리로 접근합니다. 첫째, 표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콜라겐의 수축과 변성을 일으켜서 새로운 콜라겐생성과 재배열을 진행하는것둘째, 피부에 미세한 손상을 줌으로써 손상의 회복을 통해 탄력을 얻는 방식입니다. 첫번째 방법은 피부톤이 맑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으나 흉터재생에는 한계가 있으며 두번째 방법은 흉터재생에는 훨씬 효과적이나 일상생활에 불편함과 간혹 색소침착이 몇 개월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두.. 2017. 11. 15.
화이트닝의 새로운 시술, 멜라도파 시스템 ! 칙칙해진 피부를 맑게 ~ 새로운 화이트닝 시술, 멜라도파 ? 멜라도파란? 심부 멜라도파 마스크 시술 시스템은 고통스러운 박피 및 회복과정이 없이, 각질 탈락과 함께 강력한 항산화 시스템이 피부 깊숙이 전달되어 멜라닌 생성에 작요하는 효소를 억제하고, 피부 세포의 재생을 활성화시켜 색소침착 및 노화피부를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멜라도파 시스템? Step 1. Resurfacing step (시술 단계) 생성된 색소 및 각질은 제거하고 항산화요법에 의한 시술 효과를 촉진시키는 단계 Step 2. Depigmentation step (치료 단계 ) 색소 생성을 억제하고 피부 재생을 촉진하여 시술 효과를 발휘하는 단계 Step 3. Regeneration step (케어 단계) 피부재생에 필요한 최적의 환경을 .. 2017. 10. 3.
주름없애는법, FGF에 주목!! 주름없앨수 없다? 있다? 화장품이 아무리 좋아도 이미 생겨버린 주름을 없앨 수 없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유전자 재생 스킨케어 분야에서는 이러한 주름을 없애는 성분들의 연구는 활발하며 그 중 대표적인 성분이 피부속 진피를 재생시켜 볼륨을 차오르게 하는 FGF라는 성분입니다. EGF화장품은 이제 많은 분 들이 알고 계시지만 아직까지 FGF화장품에 대해서는 잘 모르시는데요.오늘은 이 FGF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FGF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약자로 노화와 관련 있는 주름, 탄력 등을 관장하는 세포신호인자입니다.피부표면의 리셉터(수용체)를 통해 피부속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구조물질을 합성하는 기능을 하며 새로운 피부를 만들고 재생주기를 정상적으로 회복시켜줍니다. FGF와 EGF의 차이점! EGF는.. 2017. 9. 11.
섬유아세포 성장인자(FGF)의 특성과 구조 섬유아세포성장인자(Fibroblast Growth Factors, FGF)는 조직재생 및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성장요소 입니다. 1973년 뇌하수체 추출물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뇌와 뇌하수체에서 분리되었습니다. 고립된 요인의 섬유아세포 자극 활성으로 인해, 과학자들은 그들을 'FGF'라고 묘사했으며. FGF-1은 산성pH에서 분리된 이후 처음으로 '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로 명명되었습니다. 하지만 FGF-2는 원래 기본 pH에서 분리하고 "기본 섬유아세포성장인자"라 불리었습니다. 현재 섬유아세포 성장인자는 선충류에서 인간까지 존재하는 많은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섬유아세포를 모방할 수 없는 요소도 있습니다. FGF 특성 척추동물에서 FGF계통의 22개의 구성원이 확인되며, 그 중 분자량은 17~.. 2017.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