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kin/뷰티 일반

EGF 함유량과 EGF 활성도 비교?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3. 4.

2015년 3월 3일 상담다이어리

 

 

 

[질문] 지예가화장품은 거의 EGF가 함유된 화장품인것 같은데,

어떤 브랜드 제품이 EGF함유량이 높은가요?

egf 함유량이 높으면 효과가 좋은거 맞나요?

 

 

 

[답변] 재생화장품 전문몰 지예가는 EGF성분이 배합된 화장품들을 판매하는 사이트입니다.

따라서 많은분들이 egf 함유량에 대한 문의를 주고 계십니다.

 

물론 egf 함유량이 높은제품이 피부재생에 더욱 효과적인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함유량보다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요,

egf성분은 농도가 높아도 성장인자의 생물활성이 실활하고 있는 경우가 있거나

상품에 배합하는 성장인자 원료의 생물활성이 낮은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egf 함유량만으로는 상품의 품질기준의 의미가 없다고 합니다. (일본EGF협회자료 참고)

 

중요한것은 생물활성이 어느 정도 있는가 하는 것으로 이것은 IU라고하는 단위로 나타내어지는

활성도 부분이 더 중요합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식약청기준에서는 EGF 함유량에 대한 언급은 있지만

활성도에 대한 기준이나 지표는 갖고 있지를 못합니다.

 

 

그 이유는 EGF성분이 일반 화장품성분과는 매우 다르며

(성분으로 배합했다고 해서 효과가 나타나는 성분이 아닙니다.)

화장품제조에 있어 활성도를 체크하는 개념조차도 없기 때문은 물론

활성도를 확인하는 기술력 역시 갖고 있지 못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국내에서는 대웅제약이 EGF 공식 검증기관으로 식약청 인증을 받은 상태이며

일본제품의 경우 일본EGF협회에서 함유량과 활성도를 확인 후 인증마크를 통해 검증된 제품들을

분류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EGF 함유량과 EGF 활성도 검증 인증마크

 

 

 

EGF 활성도에 대해 좀 더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활성도의 사전적 의미는 다른물질과 반응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EGF는 53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백질 성분으로,

활동중인 상태에서 흡수시켜야만 피부세표들을 자국해줄 수 있습니다.

즉, 단백질의 생존 유무와 활동성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EGF 성분은 활성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기술이라고 합니다.

제조단계에서 기술력을 보유하지 못하면, 활성도를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활성도 부분이 표기되어 있지 않는 제품은 무활성이거나 활성도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무활성도이거나 낮은 활성도의 EGF화장품은 피부에 흡수되더라도

EGF로 인한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EGF화장품을 장기간 보관시 냉장보관을 권유하는 이유도 활성도 유지시간을 늘리기 위함입니다.

 

국내EGF화장품중에서는 대웅제약 EGF화장품인 셀리시스가 가장 높은 EGF함유량과 EGF활성도를 자랑하고 있으며

일본제품으로는 바이오링크사 EGF화장품이 가장 높은 활성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EGF 함유량은 물론 EGF 활성도에 대한 이해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댓글